맨위로가기

통용 병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용 병음은 대만에서 사용되었던 중국어 로마자 표기 시스템으로, 1998년 위보-췐에 의해 도입되었다. 한어 병음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개발되었으며, 정치적인 이유로 채택과 폐지를 반복했다. 2002년 대만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지정되었으나, 2009년부터 한어 병음으로 대체되었다. 현재는 가오슝 등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대만어 및 객가어 표기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 광둥어 예일 로마자 표기법
    광둥어 예일 로마자 표기법은 19개의 성모와 53개의 운모를 사용하여 광둥어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분음 부호와 문자 'h'를 조합한 성조 표기가 특징이며 학습자에게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 한어병음
    한어병음은 중국어 발음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1950년대에 개발되어 1958년 공식 채택되었으며 표준 중국어 교육 및 문맹 퇴치에 널리 사용되고, 성모와 운모의 조합 및 성조 부호로 구성되어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 대만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대만의 언어 - 아미어
    아미어는 대만 원주민인 아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VSO 어순을 따르고, 화련현과 타이둥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 로마자 -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아큐트 악센트 문자, Ðð, Þþ, Ææ, Öö를 포함한 32개의 라틴 문자로 구성되며, Þ와 Ð는 아이슬란드어 고유 문자이고, C, Q, W, Z는 외래어에서만 쓰이며,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나뉜다.
  • 로마자 - 프락투어
    프락투어는 16세기 초 막시밀리안 1세 시대에 디자인된 블랙 레터 서체로, 독일어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민족주의와 낭만주의 부흥 시기 안티콰체와의 논쟁을 겪었고, 현재는 장식적 용도로 사용된다.
통용 병음
개요
언어타이완 중국어
사용 기간(2002–2009)
IETF 언어 태그zh-Latn-tongyong
파생 표기법Daī-ghî tōng-iōng pīng-im (타이완어)
문자 체계알파벳
제정 기관타이완 교육부
명칭
한국어 명칭통용 병음
중국어 간체通用拼音
중국어 번체通用拼音
병음Tōngyòng pīnyīn
통용 병음 (로마자 표기)Tong-yòng Pin-yin
웨이드-자일스T'ung¹-yung⁴ Pin¹-yin¹
국제음성기호/tʰʊŋ⁵⁵⁻²¹⁴⁻jʊŋ⁵¹ pʰin⁵⁵⁻jɪn⁵⁵/
주음 부호ㄊㄨㄥ ㄩㄥˋ ㄆㄧㄣ ㄧㄣ
의미일반 용도 음운 표기

2. 역사

1998년 당시 타이베이 시장이었던 천수이볜이 시의 도로 표지판 영어 표기에 통용 병음을 채택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천수이볜이 총통이 된 후인 2002년, 기존의 주음 부호 제2식을 대신하여 통용 병음이 중화민국(대만)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2008년 마잉주가 총통이 되면서 행정원2008년 9월 16일, 통용 병음 대신 한어 병음을 국가 표준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이 결정은 2009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이로써 통용 병음은 공식적인 지위를 잃게 되었다.

진먼 섬의 안내 표지판(2012년)에 보이는 통용 병음 방식의 표기(Jhai/Jhu). 뒤의 "Xihai(서해)"는 한어 병음이다.


공식 표준에서는 폐지되었지만, 가오슝시첩운 역명이나 도로 표지판 등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통용 병음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오렌지선의 시쯔완역은 한어 병음 'Xiziwan' 대신 통용 병음 'Sizihwan'으로 표기된다. 다만, '가오슝' 지명 자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기반의 'Kaohsiung' 표기가 주로 사용된다.

한편, 대만어 발음 표기에는 2006년 채택된 대만어 로마자 표기 방안이 사용되어 통용 병음이 널리 쓰이지 않았고, 대만 객가어의 현행 발음 표기인 대만 객가어 병음 방안은 일부 차이는 있으나 통용 병음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로마자 표기법 변경과 혼용은 타이완 내 표기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2. 1. 개발 배경

타이완에서는 수십 년 동안 표준화된 로마자 표기 시스템 없이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변형된 형태나 여러 방식이 혼용되어 왔다. 학교에서는 표준 중국어 발음 교육을 위해 라틴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주음부호를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표준 로마자 표기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98년 중앙연구원 민족학 연구소의 부연구원 유보첸(余伯泉, 위보취안)은 한어 병음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q'나 'x'와 같이 중국어를 모르는 외국인에게 발음상 혼동을 줄 수 있는 부분을 개선한 통용 병음을 발표했다. 이 시스템은 1984년 교육부가 공포한 국어 주음 부호 제2식과는 달리, 표준 중국어인 궈위뿐만 아니라 타이완어, 하카어, 타이완 원주민 언어 등 타이완 내 여러 언어를 표기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여러 차례 수정이 반복되면서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평가도 있었다. 통용 병음은 기본적으로 도로 표지판 등 비한자권 외국인을 위해 한자 표기와 함께 제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주음부호를 대체하기 위한 것은 아니었다.

펑산구 청사(가오슝시). 'Fongshan' 표기는 통용 병음 ''Fòngshan''에서 유래했다.


통용 병음의 도입 논의는 타이완 내의 정치적 논쟁, 특히 중국 정체성과 대만 정체성 간의 대립과 맞물려 진행되었다.[18] 민주진보당(DPP)과 같이 타이완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세력은 중화인민공화국유엔에서 사용하는 한어 병음을 따를 필요가 없으며, 타이완의 필요에 더 적합한 통용 병음을 채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19] 반면, 중국 국민당(KMT)과 같이 중국 문화와의 연관성을 중시하는 세력은 이미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한어 병음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없다고 맞섰다. 양측은 서로 상대방의 주장이 객관적인 필요보다는 정치적 입장에 따른 것이라고 비난했다.[20]

2000년 10월 초, 교육부의 중국어 위원회는 통용 병음을 국가 표준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쩡즈젠 교육부 장관은 10월 말 대만의 로마자 표기에 대한 초안을 행정원에 제출했지만, 제안은 거부되었다. 2000년 11월, 쩡즈젠은 정부가 지방 방언을 위해 일부 수정을 거쳐 한어 병음을 채택할 것을 제안했지만 실패했다. 2002년 7월 10일, 대만 교육부는 27명의 위원들을 위한 회의를 열었다. 13명만 참석했고, 두 명이 일찍 자리를 떴으며, 의장은 투표할 수 없었기 때문에 통용 병음 사용에 대한 법안은 최종적으로 10표로 통과되었다.[1]

2002년 8월, 정부는 지방 정부가 관할 구역 내에서 무효화할 권한을 가진 행정 명령을 통해 통용 병음을 채택했다. 2007년 10월, DPP 행정부가 여전히 집권하고 있는 가운데, 여러 철자법으로 인한 수년간의 혼란을 겪은 후, 대만은 현지에서 개발된 통용 병음을 사용하여 중국어 보통화 지명의 영어 번역을 연말까지 표준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1]

난쯔 역의 옛 표지판. 통용 병음에 따른 "Nanzih Station" 표기를 사용했다.


난쯔 역의 현재 표지판. 한어 병음에 따른 "Nanzi Station"으로 변경되었다. 이 역은 가오슝시 난쯔구에 있다.


그러나 2008년, 중국 국민당은 입법원총통 선거에서 모두 승리했다. 2008년 9월, 통용 병음이 연말에 대만의 표준으로 한어 병음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2009년 1월 1일부터 한어 병음은 대만의 공식 로마자 표기 시스템이 되었다.[3][4]

현재 통용 병음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지만, 가오슝 첩운의 역명 표기나 2020년 8월 24일 타이중 시 의회에서 결정한 타이중 첩운 녹선 역의 번역된 이름에 통용 병음을 사용하기로 한 결정[12] 등 일부에서는 여전히 사용 중인 곳이 존재한다.

2. 2. 채택과 논쟁

통용 병음은 1998년 중앙연구원 민족학 연구소 부연구원 위보취안(余伯泉)에 의해 처음 발표되었다.[18] 이는 수십 년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변형하여 사용하던 타이완에서 표준화된 로마자 표기 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었다. 기존의 주음부호는 학교 교육의 표준 음성 기호였으나 라틴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위보취안은 한어 병음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외국인이 발음하기 어려운 'q', 'x' 등의 표기를 개선하고자 통용 병음을 고안했다. 또한 통용 병음은 표준 중국어인 국어뿐만 아니라 타이완어, 하카어, 타이완 원주민 언어 등 타이완 내 여러 언어를 표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 발표 이후 여러 차례 수정이 이루어져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그러나 통용 병음의 도입과 채택 논의는 타이완 내의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중국 정체성과 타이완 정체성 간의 대립 구도로 빠르게 번졌다.[18] 1998년 천수이볥 당시 타이베이 시장이 도로 표지판에 통용 병음을 채택하면서 논쟁이 본격화되었다. 타이완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민주진보당(DPP) 및 관련 세력은 중화인민공화국과 UN이 사용하는 한어 병음을 따를 필요가 없으며, 통용 병음이 타이완의 실정에 더 적합하다면 이를 채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19] 반면, 중국과의 문화적 유대를 중시하는 중국 국민당(KMT) 등은 이미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한어 병음을 두고 새로운 체계를 도입할 이유가 없다고 맞섰다. 양측은 서로 상대방의 주장이 객관적인 필요성보다는 정치적 입장(반중 또는 친중)에 따른 것이라고 비판했다.[20]

2000년 10월, 교육부의 중국어 위원회는 통용 병음을 국가 표준으로 제안했고, 쩡즈랑(曾志朗) 당시 교육부 장관은 관련 초안을 행정원에 제출했으나 거부되었다. 같은 해 11월, 쩡 장관은 한어 병음을 일부 수정하여 채택하는 방안을 다시 제안했지만 이 역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후 2002년 7월 10일, 교육부 회의에서 통용 병음 사용 법안이 통과되었다. 총 27명의 위원 중 13명만 참석했고, 2명이 조기 퇴장한 가운데 의장을 제외한 10명의 찬성으로 가결된 것이다.[1] 결국 2002년 8월, 천수이볥 총통 정부는 행정 명령을 통해 통용 병음을 공식 채택했으나, 지방 정부가 이를 따르지 않을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었다. 2007년 10월, 여전히 민주진보당 정권 하에서 여러 표기법으로 인한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연말까지 통용 병음으로 지명 표기를 표준화하겠다고 발표했다.[21]

2008년, 입법원 선거총통 선거에서 모두 승리한 중국 국민당은 정권 교체 후 같은 해 9월 16일, 통용 병음을 폐지하고 한어 병음을 국가 표준 로마자 표기법으로 채택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결정은 2009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어, 통용 병음은 공식적인 지위를 잃게 되었다.[3][4] 마잉주 총통 집권기에 이루어진 이 변화는 타이완 내 로마자 표기법 논쟁에 다시 한번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여러 방식이 난립하던 로마자 표기에 혼란을 더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비록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지만, 통용 병음은 일부 지역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가오슝시가오슝 도시철도 역명 표기 등에 통용 병음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오슝 첩운 오렌지선의 시쯔완역은 한어 병음 표기인 'Xiziwan' 대신 통용 병음 표기 'Sizihwan'을 사용한다. (단, '가오슝' 자체는 통용 병음 'Gaosyong'이나 한어 병음 'Gaoxiong'이 아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기반의 'Kaohsiung'이 주로 쓰인다.) 또한 타이완어의 발음 표기는 통용 병음 대신 2006년 백화자를 기반으로 한 대만어 로마자 표기 방안이 채택되었고, 하카어의 경우 현행 대만 객가어 병음 방안은 일부 차이는 있지만 통용 병음 방식을 상당 부분 따르고 있다. 2020년 8월에는 타이중 시 의회가 타이중 첩운 녹선 역명의 번역 표기에 통용 병음을 사용하기로 결정하기도 했다.[12] 이러한 상황은 로마자 표기법을 둘러싼 타이완 내의 지속적인 혼란과 논쟁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2. 3. 한어 병음으로의 전환

2008년, 중국 국민당은 입법원총통 선거에서 모두 승리했다. 이후 마잉주가 총통이 되자 행정원은 2008년 9월 16일 통용 병음을 한어 병음으로 대체하기로 결정하고,[3][4] 17일에 이를 공식 발표했다.[3][4]

이에 따라 2009년 1월 1일부터 한어 병음이 타이완의 공식 로마자 표기 시스템으로 시행되었다.[3][4] 이로써 통용 병음은 타이완 중앙 정부의 공식 로마자 표기 표준에서 사실상 폐지되었다. 그러나 타이완 사람들은 여전히 개인의 외국어 이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24], 일부 지방 정부나 기존 시설에서는 통용 병음 표기가 계속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2. 4. 현재 사용 현황

천수이]<0x86><0x8F> 총통 시절인 2002년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지정되었던 통용 병음은,

3. 특징

통용 병음은 1998년 중앙연구원 민족학 연구소 부연구원 유보첸(余伯泉|위보취안중국어)에 의해 발표되었다.

1984년 교육부가 공포한 국어 주음 부호 제2식과는 달리, 표준 중국어인 궈위뿐만 아니라 타이완어, 하카어, 타이완 원주민 언어 등 타이완 내 여러 언어의 발음을 표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여러 차례 수정이 이루어지면서 표기법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이 있었다.

또한 통용 병음은 주음 부호를 완전히 대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도로 표지판 등에서 비한자권 외국인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한자 표기와 함께 병기하는 보조적인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현재 중화민국에서는 공식적으로 통용 병음 사용을 폐지하고 한어 병음을 채택하였으나, 가오슝 첩운의 역명 로마자 표기 등 일부에서는 여전히 통용 병음 표기가 사용되고 있는 사례가 남아있다.

3. 1. 표기법

통용 병음은 여러 차례 개정되었지만, 여기서는 2003년 이후의 표기법에 대해 기술한다. 엄밀히 말하면 "화어 통용 병음(국어)", "대어 통용 병음(대만어)", "객어 통용 병음(객가어)"의 3가지 방식이 있지만, 이하에서는 이들을 포괄적으로 기술한다. 각 방식에서 철자가 다른 경우에는 각각 , , 과 같이 위첨자로 표시한다.

또한, 참고로 통용 병음 아래에 주음 부호 (대만 방음 부호 계통) 및 현행 로마자 발음 표기인 한어 병음, 대만어 로마자 표기 방안, 대만 객가어 병음 방안에서의 표기를 함께 표기한다.

통용 병음의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제1성은 표시하지 않는다.
  • 한어 병음의 ''zh-''는 ''jh-''가 된다. (웨이드-자일스는 ''ch-''를 사용한다).
  • 한어 병음의 ''x-''와 ''q-''는 통용 병음에서 사용되지 않고 ''s-''와 ''c-''가 된다 (웨이드-자일스는 ''hs-''와 ''ch'-''를 사용한다).
  • 한어 병음의 ''-i'' (주음 부호로는 표기되지 않음)는 공운(空韻)으로 알려져 있으며, ''-ih''로 표시된다 (웨이드-자일스와 다소 유사). 한어 병음의 ''zi'' (資), ''ci'' (慈), ''si'' (思), ''zhi'' (知), ''chi'' (吃), ''shi'' (詩), ''ri'' (日)는 모두 통용 병음에서 ''-ih''로 끝난다.

대만 타이난 시 쉐지아 구의 쉐지아/SyueJia 중학교 (스펠링 'Syuejia'는 통용 병음 ''Syuéjiǎ''에서 파생되었다.)

  • 한어 병음에서 사용되는 ''ü'' (''j'', ''q'' 및 ''x'' 뒤에서는 ''u''로 표기)는 ''yu''로 대체된다.

타이중 첩운에는 펑러 공원(통용 병음 ''Fonglè''에서 유래) 역이 있다.

  • ''-eng''는 ''f-''와 ''w-'' 뒤에서 ''ong''이 된다 (奉、瓮)
  • ''wen'' (溫)은 ''wun''이 된다.
  • ''-iong''은 ''yong''이 된다: 병음의 ''xiong'' (兇) 대신 ''syong'' (cf. ''-iang''은 변경되지 않고 ''siang''으로 유지된다).
  • 웨이드-자일스 및 한어 병음과 달리 ''-iu''와 ''-ui'' (''liu'' [六] 및 ''gui'' [鬼])는 축약형을 ''-iou'' 및 ''-uei''로 전체 표기할 수 있다. 그러나 중화민국 내정부에 따르면 향 수준 이하의 지명 로마자 표기에서는 문자를 전체 표기해야 한다.
  • 통용 병음의 동일 단어 내 음절은 지명을 제외하고 하이픈으로 구분하며,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유사하다. 하지만 내무부의 로마자 표기에서는 지명에 음절 간 공백이 없다.
  • 통용 병음은 주음 부호에 사용되는 성조와 더 유사한 성조 언어의 성조를 사용한다. 제1성조는 표시하지 않지만, 중성조는 작은 고리 기호로 표시한다(컴퓨터에서는 선택 사항).


=== 자음 ===

rowspan=2 colspan=2|양순음순치음치경음후치경음권설음치경구개음연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무성음유성음무성음유성음무성음유성음무성음유성음무성음유성음무성음유성음유성음무성음유성음무성음
비음m [m]
ㅁ m/m/m
n [n]
ㄴ n/n/n
ngi [ɲ]
ㄬ -/-/ngi
ng [ŋ]
ㅇ -/ng/ng
파열음무기음b [p]
ㅂ b/p/b
bh, bb [b]
- -/b/bb
d [t]
ㄷ d/t/d
g [k]
ㄱ g/k/g
gh [ɡ]
- -/g/-
(무) [ʔ]
(무) -/-/-
유기음p [pʰ]
ㅍ p/ph/p
t [tʰ]
ㅌ t/th/t
k [kʰ]
ㅋ k/kh/k
파찰음무기음z [t͡s]
ㅈ z/ts/z
r [d͡z]
- -/j/-
zh [t͡ʃ]
zh -/-/zh
jh [ʈ͡ʂ]
zh zh/-/-
ji, zi대객 [t͡ɕ]
ㅈ j/tsi/j
ri [d͡ʑ]
- -/ji/-
유기음c [t͡sʰ]
ㅊ c/tsh/c
ch [t͡ʃʰ]
ㅊ -/-/ch
ch [ʈ͡ʂʰ]
ㅊ ch/-/-
ci [t͡ɕʰ]
ㅊ q/tshi/q
마찰음f [f]
ㅍ f/-/f
v [v]
- -/-/v
s [s]
ㅅ s/s/s
sh [ʃ]
ㅅ -/-/sh
rh [ʒ]
- -/-/rh
sh [ʂ]
ㅅ sh/-/-
r [ʐ]
ㄹ r/-/-
si [ɕ]
ㅅ x/si/x
h [x]
ㅎ h/-/-
h대객 [h]
ㅎ -/h/h
접근음l [l]
ㄹ l/l/l


  • 「ji ci si」의 바로 뒤에 y로 시작하는 모음「yue yuan yun yong」중 하나가 올 경우, i를 생략하고「jy- cy- sy-」와 같이 표기한다.


=== 운모 ===

==== 운미 ====

순음치경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 [m]-n [n]-ng [ŋ]
내파음-p [p̚]
ㆴ -/-p/-b
-t [t̚]
ㆵ -/-t/-d
-k [k̚]
ㆶ -/-k/-g
-h[ʔ]
ㆷ -/-h/-



==== 개음+운복+운미 ====

단모음
rowspan=3|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비원순 모음원순 모음비원순 모음비원순 모음원순 모음
기본비음화기본기본설단R 음성기본기본비음화
고모음i [i]
ㅣ i/i/i
iⁿ [ĩ]
ㆪ -/inn/-
yu [y]
ㅟ ü/-/-
ii [ɨ]
ㆨ -/ir/ii
ih [ɿ]
ㄭ -i/-/-
ih [ʅ]
ㄭ -i/-/-
u [u]
ㅜ u/u/u
uⁿ [ũ]
ㆫ -/unn/-)
중고모음e대객 [e]
ㆤ -/e/e
eⁿ [ẽ]
ㆥ -/enn/-
e, er [ɤ]
ㅓ e/-/er
or, o [o]
, ㅗ -/o/o
중모음or [ə]
ㅓ -/o, er/-
er [ɑɻ]
어 er/-/-
저모음e, ee [ɛ]
ㅔ ê/ee/ee
o화대, oo [ɔ]
, ㆦ대객 o/oo/oo
oⁿ [ɔ̃]
ㆧ -/onn/-
개모음a [a]
ㅏ a/a/a
aⁿ [ã]
ㆩ -/ann/-



성절 자음
m [m̩]
ㆬ -/m/m
n [n̩]
ㄴ -/-/n
ng [ŋ̍]
ㅇ -/ng/ng



이중 모음·입성
통용 병음amanangapatakahaⁿh
IPA[am][än]
[an]
[ɑŋ][ap̚][at̚][ak̚][aʔ][ãʔ]
주음ㅏㄴㅏㆴㅏㆵㅏㆻㅏㆷㆩㆷ
현행-/am/aman/an/anang/ang/ang/ap/ab-/at/ad-/ak/ag-/ah/--/annh/-
colspan=15|
통용 병음aiaiⁿaihaiⁿhao
au
auh
IPA[aɪ][ãĩ][aɪʔ][ãĩʔ][ɑʊ][ɑʊʔ]
주음ㅏㅇㅏㅇㆷㆮㆷㅏㅗㅏㅗㆷ
현행ai/ai/--/aih/--/ainn/--/ainnh/-ao/au/--/auh/-
colspan=15|
통용 병음enengepeteheⁿheieueemeeneet
IPA[ən]
[en]
[ɤŋ][ep̚][et̚][eʔ][ẽʔ][eɪ][eu][ɛm][ɛn][ɛt̚]
주음ㅓㄴ
ㅔㄴ
ㅔㆴㅔㆵㅔㆷㆥㆷㅔㅣㅔㅜㅔㆬㅔㄴㅔㆵ
현행en/-/eneng/-/--/-/eb-/-/ed-/eh/--/ennh/-ei/-/--/-/eu-/-/eem-/-/een-/-/eed
colspan=15|
통용 병음imin
yin
ing
ying
ipitikihiⁿh
IPA[im][in][iŋ][ip̚][it̚][ik̚][iʔ][ĩʔ]
주음ㅣㅇㅣㄴㅣㅇㅣㆴㅣㆵㅣㆻㅣㆷㆪㆷ
현행-/im/imin
yin
/-/ining
ying
-/ip/ib-/it/id-/ik/--/ih/--/innh/-
colspan=15|
통용 병음ia
ya
iaⁿiamian
yan
iang
yang
iapiatiakiahiaⁿh
IPA[iä][ĩã][iɑm][iɛn]
[iɑn]
[iɑŋ][iɑp̚][iɑt̚][iɑk̚][iɑʔ][ĩɑ̃ʔ]
주음ㅣㅏㅣㆩㅣㆰㅣㅏㄴㅣㅏㅇㅣㅏㆴㅣㅏㆵㅣㅏㆻㅣㅏㆷㅣㆩㆷ
현행ia, ya/ia/ia-/iann/--/iam/iamian
yan
/ian/ianiang
yang
-/iap/iab-/iat/iad-/iak/iag-/iah/--/iannh/-
colspan=15|
통용 병음ie
ye
iemieniepietiao
yao
iauiauⁿiauh
IPA[iɛ][iɛm][iɛn][iɛp̚][iɛt̚][iɑʊ][ĩɑ̃ʊ̃][iɑʊʔ]
주음ㅣㅔㅣㅔㆬㅣㅔㄴㅣㅔㆴㅣㅔㆵㅣㅏㅗㅣㆯㅣㅏㅗㆷ
현행ie, ye/-/ie-/-/iem-/-/ien-/-/ieb-/-/iedyao>/iau/iau|-/iaunn/--/iauh/-
colspan=15|
통용 병음ioiou
you
ioniongiotiokiohioi
IPA[iə]
[io]
[iɤʊ][ion][iəŋ]
[ioŋ]
[iot̚][iək̚]
[iok̚]
[iəʔ][ioi]
주음ㅣㅗㅣㅣㅗㅣㅗㄴㅣㅟㅇㅣㅗㆵㅣㅗㆻㅣㅗㆷ│ㅗ│
현행-/io/ioiu, you/-/--/-/ion-/iong/iong-/-/iod-/iok/iog-/ioh/--/-/ioi
colspan=15|
통용 병음iuiuniungiutiukiuⁿiuhiuⁿh
IPA[iu][iun][iuŋ][iut̚][iuk̚][ĩũ][iuʔ][ĩũʔ]
주음ㅣㅜㅣㅜㄴㅣㅜㅇㅣㅜㆵㅣㅜㆻㅣㆫㅣㅜㆷㅣㆫㆷ
현행-/iu/--/-/iun-/-/iung-/-/iud-/-/iug-/iuh/--/iunn/--/iunnh/-
colspan=15|
통용 병음omonong
wong
opotokohoⁿhorhoiou
IPA[ɔm][on][uɤŋ]
[ɔŋ]
[oŋ]
[ɔp̚][ot̚][ɔk̚]
[ok̚]
[ɔʔ][ɔ̃ʔ][oʔ][oi][ɤʊ]
주음ㅗㄴㅜㅇ
대객
ㆦㆴㅗㆵㆦㆻ
ㅗㆻ
ㆦㆷㆧㆷㅗㆷㅗㅣㅗㅜ
현행-/om/--/-/onong
weng
-/op/--/-/od-/ok/og-/ooh/--/onnh/--/oh/--/-/oiou/-/-
colspan=15|
통용 병음un
wun
ungutukuh
IPA[un][uŋ][ut̚][uk̚][uʔ]
주음ㅜㄴㅜㅇㅜㆵㅜㆻㅜㆷ
현행wen>/un/-|-/-/ung-/ut/ud-/-/ug-/uh/-
colspan=15|
통용 병음ua
wa
uaⁿuan
wan
uang
wang
uatuakuah
IPA[uä][ũã][uän][uɑŋ][uät̚][uäk̚][uäʔ]
주음ㅜㅏㅜㆩㅜㅏㄴㅜㅏㅇㅜㅏㆵㅜㅏㆻㅜㅏㆷ
현행ua
wa
-/uann/-uan
wan
/uan/uanuang
wang
-/uat/uad-/-/uag-/uah/-
colspan=15|
통용 병음uai
wai
uaiⁿueuenuetuehuei
wei
uiuo
wo
IPA[uaɪ][ũãĩ][ue][uen][uet̚][ueʔ][ueɪ][ui][uɔ]
주음ㅜㅏㅇㅜㆮㅜㆤㅜㆤㄴㅜㆤㆵㅜㆤㆷㅜㅔㅣㅜㅣㅜㅗ
현행uai
wai
-/uainn/--/ue/ue-/-/uen-/-/ued-/ueh/-ui
wei
-/ui/uiuo
wo
/-/-
colspan=15|
통용 병음yueyuanyunyongmhnghiimiiniipiit
IPA[yœ][yɛn][yn][iʊŋ][m̩ʔ][ŋ̍ʔ][ɨm][ɨn][ɨp̚][ɨt̚]
주음ㅟㅖㅟㅘㄴㅟㄴㅟㅇㆬㆷㅇㆷㆨㆬㆨㄴㆨㆴㆨㆵ
현행üe
yue
/-/-üan
yuan
/-/-ün
yun
/-/-iong
yong
-/mh/--/ngh/--/-/iim-/-/iin-/-/iib-/-/iid


  • y 또는 w로 시작하는 철자는 국어에서 머리 자음이 없는 음절에만 사용된다.
  • 대만어에 나타나는 비음 모음은 "-'''n'''"과 같이, 음절의 마지막에 위 첨자 n을 붙여 표기한다. 단, 머리 자음이 m과 n인 경우에는 붙이지 않는다. 예: mĭ(밤), nĭ(년)


=== 성조 ===

{| class="wikitable"

|-

!rowspan=2 align=center|성조명

!rowspan=2 align=center|성조 기호

!colspan=6 align=center|대응하는 현행 표기

|-

!colspan=2 align=center|한어 병음

!colspan=2 align=center|대만어 로마자 표기법

!colspan=2 align=center|객가어 병음 방안

|-

|align=center|고평조

|align=center|a

|align=center|ā

|align=center|1성(음평)

|align=center|a

|align=center|1성(음평)

|align=center|a

|align=center|거성(사현)
양평(해륙)

|-

|align=center|저승조

|align=center|á

|align=center|á

|align=center|2성(양평)

|align=center|â

|align=center|5성(양평)

|align=center|aˊ

|align=center|음평(사현)
상성(해륙)

|-

|align=center|저평조

|align=center|a

|align=center|ǎ

|align=center|3성(상성)

|align=center|à

|align=center|3성(음거)

|align=center|aˇ

|align=center|양평(사현·해륙)

|-

|rowspan=2 align=center|중강조

|rowspan=2 align=center|à

|rowspan=2 align=center|à

|rowspan=2 align=center|4성(거성)

|align=center|á

|align=center|2성(음상)

|rowspan=2 align=center|aˋ

|rowspan=2 align=center|상성(사현)
음평(해륙)

|-

|align=center|ǎ

|align=center|6성(양상)

|-

|align=center|저입조

|align=center|ak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ak

|align=center|4성(음입)

|align=center|akˋ

|align=center|음입(사현)
양입(해륙)

|-

|align=center|고입조

|align=center|ak

|align=center|

|align=center|

|align=center|a̍k

|align=center|

3. 2. 한어 병음과의 비교

통용 병음은 한어 병음과 매우 유사하지만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차이점이 있다. 음절의 성조를 무시할 경우, 통용 병음 음절의 약 19.47%는 한어 병음과 철자가 다르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면 이 차이는 48.84%까지 벌어진다.[26] 특히 'si'와 'ci' 두 경우는 동일한 라틴 문자 표기가 각 체계에서 서로 다른 음절을 나타내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중국'이라는 단어가 한어 병음, 통용 병음, 그리고 중국어(번체 및 간체)로 쓰여진 모습


통용 병음과 한어 병음의 주요 차이점[29]은 다음과 같다.

  • 성조 표기: 제1성은 표기하지 않는다. (한어 병음은 4성 모두 표기)
  • 구개음화 자음: 한어 병음의 ''j, q, x''는 통용 병음에서 ''j, c, s''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한어 병음의 'qī(七)'는 통용 병음에서 'ci'로, 'xī(西)'는 'si'로 표기된다.
  • 권설 자음: 한어 병음의 ''zh''는 통용 병음에서 ''jh''로 표기된다. (예: 中, 한어 병음 ''zhōng'', 통용 병음 ''jhong'') 나머지 ''ch, sh, r''은 동일하다.
  • 설첨음 후 모음: 한어 병음에서 ''zi, ci, si, zhi, chi, shi, ri''에 사용되는 모음 ''-i'' (주음 부호로는 표기되지 않는 空韻|공운중국어)는 통용 병음에서 ''-ih''로 표기된다. (예: 四, 한어 병음 ''sì'', 통용 병음 ''sih''; 知, 한어 병음 ''zhī'', 통용 병음 ''jhih'')
  • 모음 'ü': 한어 병음에서 ''j, q, x, y'' 뒤에 오는 ''ü'' (표기는 ''u'') 및 단독으로 쓰이는 ''yu''는 통용 병음에서 일괄적으로 ''yu''로 표기한다. 이로 인해 통용 병음은 움라우트 기호(¨) 없이 표기 가능하다. (예: 女, 한어 병음 ''nǚ'', 통용 병음 ''nyu''; 去, 한어 병음 ''qù'', 통용 병음 ''cyu'')
  • 모음 '-iong': 한어 병음의 ''-iong''은 통용 병음에서 ''yong''으로 표기된다. (예: 兇, 한어 병음 ''xiōng'', 통용 병음 ''syong'')
  • 복모음 축약: 한어 병음에서 축약되는 ''-iu'' (예: 六, ''liù'')와 ''-ui'' (예: 鬼, ''guǐ'')는 통용 병음에서 각각 ''-iou''와 ''-uei''로 전체 표기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 ''liou'', ''guei'') 중화민국 내정부 규정에 따르면 향(鄉) 수준 이하 지명 표기 시에는 전체 표기를 사용해야 한다.
  • 'eng' 발음 변화: 순음 자음 ''f-''와 ''w-'' 뒤에서 한어 병음의 ''-eng''는 통용 병음에서 ''-ong''으로 표기된다. (예: 奉, 한어 병음 ''fèng'', 통용 병음 ''fòng''; 翁, 한어 병음 ''wēng'', 통용 병음 ''wong'')
  • 'wen' 발음: 한어 병음의 ''wen'' (溫)은 통용 병음에서 ''wun''으로 표기된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같은 한자라도 두 표기법 간에 표기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타이베이시의 유명한 스린 야시장(士林夜市)은 한어 병음으로는 'Shìlín Yèshì'이지만, 통용 병음으로는 'Shìhlín Yèshìh'로 표기될 수 있다. 가오슝시에서는 첩운(지하철 및 경전철)의 역명과 도로 표지판에 통용 병음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오렌지선의 시점인 시쯔완역(西子灣站)은 한어 병음이라면 "Xiziwan"이 되지만, 통용 병음 방식에 따라 "Sizihwan"으로 표기하고 있다.

3. 3. 타이완어 변형

통용 병음 시스템에는 대만어의 음성 표기를 위한 버전인 대만어 통용 병음도 존재한다. 이 표기법에는 ''f'' 소리가 없고 ''bh'' 소리가 추가된 점이 특징이다.

그러나 2006년 중화민국 교육부대만어 표기에 대만어 통용 병음을 사용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채택하지 않고, 대신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을 선정했다.[25] 이 결정에 따라 대만어 통용 병음은 널리 보급되지 못했으며, 2006년 10월 14일에는 기존의 백화자를 기반으로 한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정식 명칭: 臺灣閩南語羅馬字拼音方案|대만 민남어 로마자 병음 방안중국어)이 공식 표기법으로 채택되었다.

4. 논쟁

1998년 중앙연구원 민족학 연구소의 부연구원 유보첸(余伯泉, Yú Bóquán중국어)이 발표한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다.[27] 이는 1984년 교육부가 공포한 주음 부호 제2식과는 달리, 국어(궈위)뿐만 아니라 타이완어, 객가어, 타이완 원주민 언어 등 타이완의 여러 언어를 표기하려는 시도였으나, 표기 방법이 여러 차례 수정되어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통용 병음은 주로 도로 표지판 등 비한자권 외국인을 위한 보조 표기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기존의 주음 부호를 대체하기 위한 것은 아니었다.

통용 병음의 도입과 사용을 둘러싸고 타이완 사회에서는 찬반 양론이 맞섰다. 통용 병음의 실용성, 타이완의 지역적 특성 반영 필요성, 그리고 중국 본토 및 국제 표준과의 정합성 등 다양한 쟁점을 중심으로 논쟁이 전개되었다.[28] 이러한 논쟁은 통용 병음의 공식 지위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1998년 당시 타이베이 시장이었던 천수이볜은 타이베이시의 도로 표지판에 통용 병음을 도입했다. 이후 2000년 천수이볜이 총통에 당선되면서 2002년 통용 병음은 타이완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2008년 마잉주 정부가 들어서면서 행정원은 한어 병음을 국가 표준으로 채택하기로 결정했고, 2009년 1월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통용 병음은 공식적인 지위를 잃게 되었다.

이러한 정책 변경으로 인해 통용 병음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지만, 가오슝시지하철(첩운) 역명이나 일부 도로 표지판 등에서는 여전히 통용 병음 표기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남아있다. 예를 들어, 오렌지선의 시쯔완역은 한어 병음으로는 'Xiziwan'이지만 통용 병음에 따라 'Sizihwan'으로 표기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여러 표기 방식이 혼용되면서 타이완 내 로마자 표기 문제에 혼란을 더하는 상황이 초래되었다. 한편, 타이완어 표기는 2006년 백화자 기반의 이 채택되었고, 객가어 표기는 통용 병음의 영향을 받은 이 사용되고 있다.

4. 1. 통용 병음 지지 측 주장

가오슝시 난쯔구의 도로 표지판. 軍校路(한어 병음: jūnxiào lù)가 통용 병음(jyunsiào lù) 기반 'Jyunsiao Rd.'로 표기되어 있다.


타이베이 국립 타이완 대학의 표지판. 新生大樓(한어 병음: xīnshēng dàlóu)가 통용 병음(sinsheng dàlóu) 기반 'Sin Sheng Building'으로 표기되어 있다.


확립된 시스템으로서 한어 병음의 보급은 통용 병음에 대한 논쟁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통용 병음을 지지하는 측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를 제시한다.

  • 발음의 용이성과 비즈니스 친화성: 통용 병음은 발음하기 쉬워 비즈니스 활동에 유리하다. 타이완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이 지명, 인명, 사업체 등을 더 쉽게 발음하고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 국제 서신에서의 편의성: 통용 병음 사용이 국제 서신 교환에 있어 간체자와 번체자의 차이만큼 큰 불편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 국제화와 지역적 필요성의 균형: 통용 병음은 국제적인 표준화 요구와 타이완 고유의 언어적 필요성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으려는 시도이다.[27]
  • 기존 표기법 대체: 통용 병음은 타이완에서 한어 병음을 대체하려는 것이 아니다. 한어 병음은 타이베이 지역 외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통용 병음은 오히려 타이완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웨이드-자일스보다 통용 병음이 더 우수하다는 점과 변화를 통해 얻는 이점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다.
  • 학습자 선택권 보장: 이미 한어 병음을 배운 사람들에게 통용 병음 사용을 강요하지 않는다. 만다린 중국어 문서를 입력하거나 서식을 지정할 때 어떤 로마자 표기 시스템이든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타이완의 컴퓨터와 전자기기는 이미 한어 병음과 주음 부호 입력 방식(MPS 키보드)을 옵션으로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로마자 표기 방식 간의 변환도 쉽게 할 수 있다.
  • 비학습자를 위한 유용성: 로마자 표기는 만다린 중국어를 정식으로 배우지 않았지만 언론 보도나 문헌 등에서 관련 이름이나 용어를 접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유용하다. 만다린 중국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은 결국 한자를 배우게 되므로 특정 로마자 표기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게 된다.

4. 2. 통용 병음 반대 측 주장

중국 본토뿐만 아니라 국제 표준화 기구(ISO)와 국제 연합(UN)에서도 한어 병음을 표준 로마자 표기 방식으로 채택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28] 통용 병음의 도입은 이미 사용되던 한어 병음과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더해 세 번째 표기 방식을 만들어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비판이 있다. 예를 들어, 청나라를 표기할 때 한어 병음으로는 'Qing dynasty',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는 'Ch'ing dynasty'로 쓰는데, 통용 병음으로는 'Cing dynasty'가 된다. 이로 인해 특정 용어를 접하는 사람들이 세 가지 표기가 모두 같은 대상을 가리킨다는 것을 인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긴다.

결과적으로 통용 병음의 도입과 폐지 과정은 이미 여러 표기 방식이 혼재하던 대만의 로마자 표기 상황에 더 큰 혼란을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5. 다른 표기법과의 비교



통용 병음은 한어 병음과 매우 유사하지만 몇 가지 주요한 차이점이 있다.[29]

'''통용 병음과 한어 병음의 주요 표기 차이'''
구분통용 병음 (Tongyong Pinyin)한어 병음 (Hanyu Pinyin)예시 (통용 병음 → 한어 병음)
구개음화 자음j, c, sj, q, xjīng → jīng, cì → qì, sīn → xīn
권설 자음jh, ch, shzh, ch, shjhong → zhōng, chih → chī, shih → shī
특정 모음 iihishih → shi, sih → si
모음 ü/u/iongyu, yongü, u, iongnyu → nǚ, jyong → jiōng
모음 iu/uiiou, ueiiu, uidiou → diū, duei → duī
모음 eng (순음 뒤)ongengfong → fēng, wong → wēng
모음 wenwunwenwun → wén
모음 i
(zhi, chi, shi, ri,
zi, ci, si 뒤)
ihijhih → zhi, chih → chi, shih → shi, rih → ri,
zih → zi, cih → ci, sih → si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한어 병음의 구개음화 자음 j, q, x는 통용 병음에서 각각 j, c, s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qì'는 'cì'로, 'xīn'은 'sīn'으로 쓴다.
  • 한어 병음의 권설 자음 zh는 통용 병음에서 jh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zhōng'은 'jhong'으로 쓴다. (ch, sh는 동일)
  • 한어 병음에서 'zhi, chi, shi, ri, zi, ci, si'의 모음 i는 통용 병음에서 'ih'로 표기된다. (예: jhih, chih, shih, rih, zih, cih, sih)
  • 한어 병음의 모음 ü는 통용 병음에서 항상 yu로 표기된다. 이는 자음 뒤에 올 때도 마찬가지이다(예: nyu). 따라서 통용 병음은 움라우트(¨) 기호 없이 표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한어 병음의 복모음 iu, ui는 통용 병음에서 각각 iou, uei로 표기된다. (예: diou, duei)
  • 한어 병음의 복모음 iong은 통용 병음에서 yong으로 표기된다. (예: jyong)
  • 한어 병음의 eng은 순음(f, w) 뒤에서 통용 병음에서는 ong으로 표기된다. (예: fong, wong)
  • 한어 병음의 wen은 통용 병음에서 wun으로 표기된다.


성조 표기 방식에도 차이가 있는데, 통용 병음은 중성(경성)은 표기하지만 제1성은 표기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같은 중국어 발음이라도 통용 병음과 한어 병음의 로마자 표기가 달라진다. 중화민국(대만)에서는 2002년부터 2008년까지 통용 병음을 공식 표기법으로 사용했으나, 2009년부터는 중화인민공화국과 동일하게 한어 병음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만, 가오슝 첩운의 역명 표기 등 일부에서는 여전히 통용 병음 표기가 남아있어[29] 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참조

[1] 뉴스 Tongyong Pinyin the new system for romanization http://www.taipeitim[...] 2002-07-11
[2] 뉴스 Taiwan Authority Concerned Passes Tongyong Pinyin Scheme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Online 2002-07-12
[3] 뉴스 Hanyu Pinyin to be standard system in 2009 http://www.taipeitim[...] 2008-09-18
[4] 뉴스 Gov't to improve English-friendly environment http://www.chinapost[...] The China Post 2008-09-18
[5] 웹사이트 NOTICE TO READERS http://www.taipeitim[...] 2009-08-25
[6] 웹사이트 Language: A tool for messages or identity http://www.taipeitim[...] 2017-01-18
[7] 웹사이트 路牌改通用拼音? 南市府:已採用多年 https://news.ltn.com[...] 2018-10-15
[8] 웹사이트 OPINION: Hanyu Pinyin Should Not Be Political, Kaohsiung https://internationa[...] 2017-11-27
[9] 웹사이트 Administrative Districts https://www.kcg.gov.[...] Kaohsiung City Government 2016-09-30
[10] 웹사이트 District Office https://www.tainan.g[...] 2016-06-03
[11] 웹사이트 漢語拼音vs.通用拼音 中市捷運、街道不同調 https://udn.com/news[...] 2019-06-15
[12] 웹사이트 Station names of central Taiwan Metro pass preliminary review https://www.taiwanne[...] 2020-08-25
[13] 웹사이트 Village, Township and City offices https://www.yunlin.g[...] 2019-09-24
[14] 웹사이트 Information https://www.kljs.gov[...]
[15] 웹사이트 bg01 https://www.klsy.gov[...]
[16]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s://www.klsy-hou[...]
[17] 웹사이트 History https://cijin.kcg.go[...]
[18] 뉴스 Rush to Tongyong Pinyin reckless http://www.taipeitim[...] 2002-07-19
[19] 뉴스 Minister to play down Tongyong controversy http://www.taipeitim[...] 2002-07-17
[20] 뉴스 Hanyu, Tongyong: survival of the fittest? http://www.chinapost[...] The China Post 2007-01-02
[21] 뉴스 Taiwan to standardize English spellings of place names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7-10-27
[22] 뉴스 Tide of Romanization could shift http://www.taipeitim[...] 2002-10-05
[23] 뉴스 Ma remains Tongyong Pinyin holdout http://www.taipeitim[...] 2002-08-03
[24] 웹사이트 Pinyin and a Taiwanese identity http://www.taipeitim[...] 2017-01-22
[25] 웹사이트 MOE approves Taiwanese romanization; Tongyongists protest http://pinyin.info/n[...] 2006-10-02
[26] 웹사이트 Similarities Between Tongyong Pinyin and Hanyu Pinyin: Comparisons at the Syllable and Word Levels http://research.chts[...] 2004-07-01
[27] 뉴스 Romanization must strike a balance http://www.taipeitim[...] 2000-01-09
[28] 뉴스 Letter: Phoney pinyin war http://www.taipeitim[...] 2017-01-21
[29] 웹사이트 Tongyong Pinyin romanization system for Mandarin Chinese http://www.pinyin.in[...] Pinyin.inf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